관리자
169
2024-05-22
내역사업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
과제명 | 곤충 효소 기반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 플랫폼 기술 개발(1주관) | ||||
---|---|---|---|---|---|
과제고유번호 | 1395072135 | ||||
부처명 | 농촌진흥청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12-31 |
연구목표 | 1) In silico 기법으로 선발된 PE분해 효소의 활성 고도화 2) PE분해효소 발현 2D/3D 장세포 모델 개발3) 곤충세포기반 PE분해 효소 대량 생산 조건 확립4) 메뚜기목에서 플라스틱 섭식, 분해 가능종의 국내외 탐색 조사5) 플라스틱 분해 가능종의 종 진단(형태와 DNA 바코드 분석)6) 플라스틱 섭식 가능성 조사7) 대상종의 생태조사 및 실... | ||
---|---|---|---|
연구내용 | 1) In silico 기법으로 선발된 PE분해 효소의 활성 고도화 2) PE분해효소 발현 2D/3D 장세포 모델 개발3) 곤충세포기반 PE분해 효소 대량 생산 조건 확립4) 메뚜기목에서 플라스틱 섭식, 분해 가능종의 국내외 탐색 조사5) 플라스틱 분해 가능종의 종 진단(형태와 DNA 바코드 분석)6) 플라스틱 섭식 가능성 조사7) 대상종의 생태조사 및 실... | ||
기대효과 | ○ G. mellonella larvae 장세포 유래 2D/3D 생체 외 모델을 활용한 연구기술의 발전은 PE분해 효소 특이적 기전 이해, EnzymeTransporter 간의 상호작용 이해, PE분해 효소 활성 증대 기전 개발 플랫폼 제공 등 PE분해 효소 활용 영역에서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 꿀벌부채명나방 개체 수준 외에 defined ... | ||
키워드 | 플라스틱, 곤충, 분해, 장내환경, 고산소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기타생명과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