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주관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 기존 부품 대비 3D 프린트 제작부품 성능 평가 및 최종보고서 작성 참여기관 1 (비즈(주)) - 전 3D 프린팅 쿠폰 및 시제품 시험데이터 종합 검토 및 평가 - 3D 프린팅 표준화 참여기관 2 (한전원자력연료(주))- 핵연료 부품 최종 시제품 제작 및 도면 발행 참여기관... |
| 연구내용 |
주관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 운전 및 내 환경 성능을 고려한 기존 부품 대비 3D 프린트 제작부품 성능 평가 및 최종보고서 작성 참여기관 1 (비즈(주)) - 전 3D 프린팅 쿠폰 및 시제품 시험데이터 종합 검토 및 평가 - 3D 프린팅 표준화 참여기관 2 (한전원자력연료(주)) - 최종 도면 및 시방서 개발 ... |
| 기대효과 |
[3D 프린팅의 기술적 측면] 3D 프린팅 기술 및 3D 프린터가 발달하면서 작은 시제품 제작용으로만 사 용되던 것이 가정에서 개인화, 맞춤화된 장난감, 액세서리 제작까지 확대하 며 실용화되었고, 3D 스캐너 및 디자인 도구의 발전으로 3D 프린팅 제조 기술은 그동안 산업체에서 주조, 단조, 압출, 용접 등 고전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대량 생산하던 것... |
| 키워드 |
밸브 , 핵연료지지체 , 금속적층제조 , 공정해석 , 표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