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주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망구조 1개소 잠재성 평가(1개 탐사시추 결과 반영) (참여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추 예정 해역의 천부해저(지층)의 위험요소별 특성·분포 규명- CO2 수층 누출시 확산범위 평가 모형 구축- 시추 예정 해역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접근 모형 구축(참여2) 지오텍컨설탄트(주)- 바지선, 선박, 시추기 등 해상운영에 관한 매... |
연구내용 |
(주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시추 전)- 탐사시추 2개소 선정(1/4, 4/4 분기에 각 1공 시추 예정)- 탐사시추 2개소 시추 전 지질 예측(시추 중·후)- 물리검층 자료 취득 및 분석(1개 탐사공)- 시추코어 물성 공극률/밀도 50개 이상, 투과도 시험 3개 이상, 덮개암/저장암 역학적 물성, 광물조성, MICP 분석, 유기물, 생층서, 연대측정 등 분... |
기대효과 |
- CCS 통합실증 및 상용화 기반이 되는 대규모 CO2 저장소 확보 및 저장 기술 고도화 -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조기 확보(~'23년)을 통해 CCS 실증 사업 추진 및, 상업적 CCS 시장 진입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음 - 해양 대심도 시추 기술 고도화 및 부지 특성화 안전성 평가 기술 확보를 통해 해외 시추 시장 진출, CCS 기술 협력 등이 ... |
키워드 |
대규모 해양 CO2 지중저장 , 부지 선정 및 특성화 , 해양환경 위험성평가 , 대규모 CCS 실증 , 대심도 해양 탐사시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