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주관연구개발기관((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o 수력발전시스템 상태 감시 플랫폼 구현 o 상태감시용 다채널 프론트엔드 시스템 시제품 제작 o IoT 기반 상태감시 및 진단 플랫폼 통합 설계 [공동연구개발기관1(한국기계연구원)] o 수차 터빈의 인공지능 기반 고장진단 기술 개발 o 주요 윤활 부품(베어링) 마모예측을... |
연구내용 |
[주관연구개발기관((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상태감시용 다채널 프론트엔드 시스템 시제품 제작 센서 종류와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입력 모듈 개발 다채널 프론트엔드 시스템 시제품 개발 현장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IoT 중계 모듈 개발 IoT 기반의 상태감시 및 AI 진단 플랫폼 제작 IoT 빅데이터 아키텍처 구성 및 데이터관리 표준화 I... |
기대효과 |
o 설비 건전성 관리 효율화 - 머신러닝 기반의 상태감시 및 예측진단 기술을 개발하면 적은 인력으로도 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특히, 실시간 상태감시 및 진단 기능을 통해 고장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해지며 대형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 o 상태감시 및 예측진단 요소 기술 융합 - 상태감시 및 예측진단 기술은 하드웨어부터 소프... |
키워드 |
수력발전 터빈 , 수력발전 발전기 , 스러스트 베어링 , 상태감시 , 예측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