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소재부품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뢰성 R&D 서비스 생태계 조성 및 지원기관 자립화? 5년내(2021년) 화학소재 융합얼라이언스 기관 자립화 100% 달성 - 바우처 및 순수 민간 사업비에 의한 기반구축 사업비 대체율 100% 달성 ? 5년내(2021년) 화학소재 연간 R&D 서비스 시장 100억원 형성 - 바우처 포함 순수 민간 사업비에 의한 화학소... |
연구내용 |
? 소재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뢰성 인프라 및 평가기술 지원 - 기존의 선정 방식이 아닌 기업의 요구에 따른 산업계 밀착형 시스템 구축 - 고비용 신뢰성 인프라의 직접적인 지원을 통한 기술 장벽 극복 지원 - 고장분석 및 수명 예측을 통한 소재 설계 최적화 및 잠재적 위험요소 제거 참여기업 발굴 계획 ? Top-down 및 Bo... |
기대효과 |
? (기술적 기대효과) - 국산 제품의 신뢰성 확보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차세대 핵심 소재들의 신뢰성 평가기술 확보 - 신생기업과 고성장기업의 기술경쟁력 획기적 강화 ? (사회 경제적 기대효과) - 국산 소재의 수입대체 효과 및 신시장 창출 - 신뢰성 바우처 사업을 통한 신규 시험분석 서비스 시장 창출 - 수직... |
키워드 |
화학소재,국제상호인증,신뢰성,고장분석,가속시험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