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212
2024-05-22
내역사업 | 2020년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시장확대형 과제’ 제2차 시행계획 수정공고 |
---|
과제명 | 인공광형 스마트팜을 활용한 기능성천연물소재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 및 상용화 | ||||
---|---|---|---|---|---|
과제고유번호 | 1425162494 | ||||
부처명 | 중소벤처기업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0-11-12 ~ 2022-11-1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11-11 |
연구목표 | ○ 스마트팜에서 지표성분 증대를 위한 환경조건 확립 및 scale-up 재배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이를 원료로한 시제품 개발○ 축적된 스마트팜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팜 플랫폼 구축○ 단계별 지표성분 분석 및 대량추출 반복 진행을 통해 표준화된 원료임을 확인하기 위한 SOP(제품표준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문서화, 및 검증을 통한 SOP의 타당성 확보 | ||
---|---|---|---|
연구내용 | ○ 농업회사법인 록야 - 스마트팜 scale-up - 병풀 원료화를 위한 가공법 개발 - 스마트팜 데이터를 축적을 통한 스마트팜 플랫폼 구축○ (주)코스모바이오 - Asiaticoside 대량추출 반복 진행 및 Data Base 화 - Madecassoside 대량추출 반복 진행 및 Data Base화 - SOP 작성 및 검증 - 시제품 개발○ 한국과학기술... | ||
기대효과 | ○ 수입 병풀의 국산화 대체로 인한 나고야의정서 회피 및 관련시장 확대○ 스마트팜을 통한 기능성 원료의 대량생산 및 재배관리 프로토콜 개발○ 축적된 스마트팜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팜 플랫폼 구축○ Scale-up된 스마트팜 내 재배, 가공, 관리 등 운영을 위하여 고용창출이 예상되며, 병풀 원료 판매 및 제작된 시제품의 출시를 통해 매출발생이 기대됨 | ||
키워드 | 스마트팜,식물공장,병풀,표준화,플랫폼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농림수산식품 > 농업인프라공학 > 농업 시설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농업, 임업 및 어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록야(주)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록야(주)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석사 | 최종학력전공 | 농림수산학 |
국비 | 2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