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잔류유기물 함량 5 % 이하의 전처리 프로토콜 개발 및 장치 구축2) 1,000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이미지 빅데이터 및 학습자료 구축3) 머신러닝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판별 정확도(형태 기준) 50 % 달성4) 실시간 시료채취-유기물전처리-이미지촬영 장치 및 이미지 판별 프로그램 제작 |
| 연구내용 |
1) 미세플라스틱 검출을 위한 시료의 전처리 기술 연구 방법① 유기물 제거를 위한 전처리 : 수체 시료 내 유기물 제거를 위한 전처리 시약 별로, 최적 전처리 온도, 시간 등을 도출② 미세플라스틱 검출을 위한 형광염색 및 필터 적용 방법2) 이미지를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판별 기술 연구 방법① 데이터 수집② 학습 모델 선정③모델 학습④모델 최적화 |
| 기대효과 |
1) 상수 원수, 수돗물, 하폐수 유입 및 방류, 일반 하천 등 모든 수체 시료에 적용 및 활용이 가능하며, 미세플라스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 외 제거하고자 하는 유기물의 완전한 산화 기술은 미세플라스틱 검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함2) 판별 알고리즘를 활요하므로 Human Error를 방지할 수 있어 객관적인 결과 도출이 가능하므로 미세플라스틱 ... |
| 키워드 |
미세플라스틱,신속검출,인공지능,딥러닝,일체형장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