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커피부산물로부터 잔사,색소,멜라노이딘,카페인,펩타이드,아미노산의 각각 혹은 통합 분리 추출공정을 확보한다.커피색소의 경우 지표성분을 확보하며, 역가 안정성 검증을 통한 색소로서의 기준을 설정한다.확보된 각 소재에 대하여 항산화, 피부재생 효능에 대한 스크리닝을 진행하며, 그 중 우수 2종에 대하여 심화 효능 평가를 수행한다. |
| 연구내용 |
커피박으로부터 색소물질을 추출 분리하여, 추출물과 잔사를 확보 커피 색소추출물의 표준화, 화학적 역가시험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 커피 색소추출물로부터 Melanoidin 분리, 확보 커피 색소추출물로부터 Caffein 분리, 확보 커피 추출잔사의 산 가수분해 통한 커피 bean peptide확보 커피 추출잔사의 Cellulase 간수분해 통한 커피 Amino... |
| 기대효과 |
업사이클링 공정 기반 커피부산물 문제 해결 및 소비 해결 및 제로웨이스트 공정의 확인으로 2차 폐기물 문제 해결방식 제안:커피부산물의 폐기방안의 제시 및 화장품으로서 고부가가치 부여Seed Cake의 처리방향 신규 설계 기대:커피를 포함한 다수의 Seed 가공에 따른 Seed Cake에 대한 화장품 원료화 방향 제시천연색소 개발의 추가적인 방향 기대:피부커... |
| 키워드 |
지속가능,커피,화장품원료,멜라노이딘,인공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