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개발에서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한 고형 플라스틱 소재를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 대신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락틱애씨드(PLA)로 대체하고, 이의 입자 사이즈 조절 및 항산화성 특성 연구로 추후 화장품 고형 원료로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 |
연구내용 |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소재인 PLA를 화장품 원료로써 국내 화장품 시장에 공급하고자 PLA 소재의 가공기술 개선하고, 마이크로(μm) 규모의 PLA 입자를 개발하여 다양한 화장품 제형으로 적용하고자 함.- 계면활성제 및 혼합비, 면찰속도 등을 제어하여 PLA 입자 및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고찰하고자 함.- PLA 가공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데이... |
기대효과 |
- 참여기업의 목표시장을 대상으로 개발품이 제작, 상용화 될 수 있도록 고객사의 요구스펙을 제공. - 1차 목표시장외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는 고객사를 대상으로 참여기관과 함께 친환경 적용을 위한 Application 공동개발. - 생분해성 고분자 가공 기술은 화장품 원료 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적 이슈를 포함하고 있는 생활... |
키워드 |
생분해성 고분자,바이오플라스틱,폴리락틱애씨드,화장품,친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