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종목표 : 생분해성 친환경 소재 공정 시스템 개발 및 이를 통한 제품 확장세부목표1 :안정적인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공정 개발세부목표2 : 향균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세부목표3 :생분해성 친환경 경량 식품용기 제작 공정 개발세부목표4 : 생분해성 수지의 분해 방법 및 장치 제조 |
| 연구내용 |
(세부목표 01) 안정적인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공정 개발 - 대상기술은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락트산 수지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를 압출 컴파운딩 공정을 통해 가공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고 바이오 함량이 100중량%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재료를 제공할 수 있음 - 폴리락트산(이하 PLA... |
| 기대효과 |
- 제품 다변화를 통한 브랜드 패키지화 (친환경빨대/테이블용품/리빙용품)- 친환경 zone 구축과 보급( 카페, 식당, 호텔 등)- 친환경 서비스 교육·캠페인 운영- 리사이클링 : 플라스틱 및 생분해 소재(친환경 리빙 용품 생산을 통한 자연의 선순환 추구)- 퇴비화 : 생분해 소재(친호나경 제품의 퇴비화를 통해 비료개발 및 작물재배연구/도시형스마트가든,스... |
| 키워드 |
생분해성,플라스틱,일회용품,고분자조성물,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