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최근 글로벌 이슈로 탄소저감재료 기반의 신제품 기술개발 활용이 국가발전 전략에 발맞춰 건설산업에서 건설폐기물(고로슬래그, 순환골재미분말)이나 산업부산물(폐섬유)을 재활용하여 최소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파괴 방지 및 고갈자원 대책에도 다양한 효과가 있음. 또한 노후화된 건설용 포장재(도로 및 노출구조마감재)의 보수보강 방안은 아직 내구성능이 미흡하여 조... |
연구내용 |
폐콘크리트를 순환골재로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잔입자로 분류된 순환잔골재는 미수화 시멘트를 포함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성분의 부착으로 강알칼리성을 띠는 다공질 재료이며, 철강산업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고로슬래그는 강알칼리와 반응하여 강도가 발현되는 잠재수경성 물질임. 또한, 고내구성 재료인 라텍스(latex)를 개질화 한 재료는 노면마찰에 강한 내마모성을 띄어 외... |
기대효과 |
현재까지는 노후화된 포장재의 보수보강재 활용은 대부분 수입산 중심의 원재료 활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국내 신기술 재료개발이 시급한 상황임. 또한, 노후구조물 포장을 신속하고 장기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재료성분 메커니즘 확보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기술로 최적 배합설계모델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을 통해 기술사업화 ... |
키워드 |
산업폐기물 자원재활용,친환경재료,탄소중립,건설용 콘크리트 포장재,인공지능 배합설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