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최종목표 : 건축물 물리적 공간의 가상 공간으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메타버스향 3D 디지털트윈 스캐너 개발개발 산출물 : 실내 공간 3D 디지털 트윈 스캐너최종목표 내용 : 건축물 물리적 공간의 디지털 공간으로의 전환을 통해 건축물의 개발/안전/관리/응용 등의 분야에서의 가상공간 구축/활용을 위한 메타버스향 “실내 공간 3D 디지털트윈 스캐너”를 개발하고... |
연구내용 |
■ 스캔 데이터 생성을 위한 SLAM 기술 정확도 개선 - SLAM 기술 정확도 개선 요구사항 분석 - 현실 공간과 스캔 데이터 위치추정 오차 최소화 기술 - 사각지대 공간 및 사물 스캔 처리 기술■ 실내 공간 3D 디지털 트윈 스캐너 H/W 개발 - H/W 디자인 및 모델링 - H/W 구성 모듈 정의 - H/W 모듈 및 조작 인터페이스 정의 및... |
기대효과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 (공공시설 분야) 실내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재난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설계와 노후화된 공공시설물의 지속적인 관리 및 보안에 유리한 실내 설계도 구상에 활용 - (공공시설 분야) 문화재 멸실·훼손을 대비해 스캐닝 기술을 통한 3D 모델링을 구현하여 이를 관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 |
키워드 |
디지털 트윈,가상 현실,3D 스캔 및 스캐너,메타버스,3D 모델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