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하천상황의 계측 밀도와 관측품질을 빅데이터 수준으로 개선함으로써 수문정보 빅데이터 구축 및 지능형 재해정보체계 구축.□ 통계분석, 오차분석, 불확실성의 정량화, 신뢰구간 등의 결과를 시·공간적으로 제시□ AI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상세 수문정보 및 기상감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선제적으로 풍수해 피해를 예측하고 신속하게 재난 상황에 대응. |
| 연구내용 |
□ 관측밀도의 획기적인 개선을 통해 수문정보 빅데이터 구축 및 지능형 재해정보체계 구축 - 전국의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 기준 계측기 평균 이격거리가 51.8km로 현저히 낮은 수준임. - 하천상황의 계측 밀도와 관측품질을 빅데이터 수준으로 개선함으로써 수문정보 빅데이터구축 및 지능형 재해정보체계 구축이 가능.□ 계절예측 및 기후변화 모델 기반 홍... |
| 기대효과 |
□ 계측된 자료를 통해 수문정보 빅데이터 및 지능형 재해정보체계 구축을 통해 재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침수 예측을 통해 침수 피해 예방에 활용. □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난피해지역을 방문하지 않고 안전하게 피해상황 예측가능 및 홍수 및 풍수해 재난을 사전 예측하여 신속한 대응을 통해 인명피해 최소화.□ 풍수해 재난상황 발생 전, 실시간 모니터링 및... |
| 키워드 |
기후변화,스마트물관리,재난대응,수자원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