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기존의 분무장치(automizer)방식은 마이크로버블 발생을 통해 기액접촉의 이상적인 방식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덕트내 기준 오염공기가 약 15m/sec로 빠르게 지나가는 풍속에 비해서 기액접촉공간에 적체되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버블은 매우 적은 양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마이크로버블에 의해서 만 기액접촉을 한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버블은 가스와 액... |
| 연구내용 |
공기정화를 효율을 높이고 일체형 표준단위공정 개발을 통해 모듈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가스 엑셀레이터 - 벤츄리 형상으로 터보송풍기에 의한 오염공기 흐름의 속도를 증가시켜 기액접촉의 강력한 에너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 - 벤츄리노즐면적/덕트면적 최적비 - 스케일업에 따른 고려인자 및 영향검토 - 벤츄리형상 최... |
| 기대효과 |
기획기술과제 수행를 통해 벤치스케일의 다단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에 따른 세정물질,농도,수처리와 스케일업 기술을 수립하고 핵심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취득코자 한다. 본 과제 수행 이후 후속 프로그램에 연계하여 본 기술을 성능과 효율 등을 업그레이드 한 파일럿 테스터(Pilot Tester MLS 10 N㎥/min)를 제작하여 악취 등 오염공기 정화장... |
| 키워드 |
다단연속세정식스크러바,가스엑셀레이터,기액접촉파분장치,폐수 오버플로우,싱크형가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