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대두되는 면역치료의 대표적인 예로 면역관문억제치료제나 CAR-T cell에 기반한 면역치료의 효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고형암, 특히 삼중음성유방암에서는 그 반응성이 낮고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함. 따라서 이러한 기존 개발되고 있는 항암면역치료에 대한 저항성을 뛰어넘는 차세대 면역치료기술의 개발이 요구됨.본 연구에서는 딥 러닝 기반의 유전체 분석을 통한 ... |
| 연구내용 |
본 연구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유방암 임상의사와 면역병리 의사 그리고 바이오나노의약 전문가로 연구팀을 구성하였으며 연구진이 보유한 다양한 syngeneic mouse 모델과 다수의 전임상 실험경험과, 그리고 면역기전 연구역량과 나노의약개발기술을 토대로 하여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Syngeneic mouse 모델에서 자가암세포 유래 항암백신 가능... |
| 기대효과 |
-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면역치료 시장에서 국내연구진이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향후 세계 맞춤형 면역치료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국내 연구생태계의 선순환을 통해 보다 더 우수한 후속연구세대가 면역치료연구개발 분야에 뛰어들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할 것임.- 동시에 맞춤형 항암백신 개발이라는 연구분야는 고형암의 체성변이를 분석하고... |
| 키워드 |
삼중음성유방암,동종이식 실험동물모델,항암면역백신,면역미세환경분석,나노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