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비접촉식 유속계를 이용한 고정형 및 이동형 하천유량 조사기술 개발> 국내 하천 유량조사를 위한 평균유속 환산 기술 개발> 국내 하천 규모별(국가하천, 지방하천 등) 비접촉식 하천 유량조사 기술 적용 기법 개발> 비접촉식 유속계의 측정 불확도 평가 기술 개발 |
연구내용 |
> 비접촉식 유속계(레이다 및 영상)를 활용한 하천 유속 측정 알고리즘 및 장비 개선- 하천 유속 및 유량 측정 시간간격(5분 이내), 하폭에 따른 측선 수 국제(ISO)기준 만족> 비접촉식 표면 유속 측정 결과의 평균유속 환산계수(0.85) 적정 활용 방안 제시> 환경부 자동유량관측소 유량산정 S/W와의 연계 기술 개발> 비접촉식 유속계를 활용한 하천 유... |
기대효과 |
● 비접촉식 유속계를 활용한 국내 하천 유량측정 자동화- 레이다와 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실시간 하천 유속 및 유량 측정 가능- 실시간 유속 및 유량자료 생산으로 효율적, 체계적 수량 및 수질관리 가능- 첨단 비접촉식 유속계(레이다 및 영상 방식) 개발을 통한 국내외 산업화 가능 - 현재 환경부에서 운영 중인 자동유량측정시설에 비접촉식 유속계를 연계하여 전국... |
키워드 |
비접촉식유속계,레이다,영상,유량조사,측정불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