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종 목표] IMO환경규제대응 선체부착생물 관리를 위한 친환경적 제어, 위해성 평가기술 개발 및 관리체계구축[세부 목표] 2-1.선체부착생물 수중 제거시 부산물 위해성 평가 기술개발(위해성 평가) 2-1-1.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기법 개발 2-1-2. 화학/독성영향 위해성 평가2-1-3. 수중 청소로봇 실해역 성능평가(3차년도~) 2-2.선체부착생물 ... |
| 연구내용 |
2-1 선체부착생물 수중 제거시 부산물 위해성 평가 기술개발2-1-1.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기법 개발 - 선체부착생물판별/생존 평가 - 수중제거 위해도 평가 적용기법 개발 - 수중청소로봇 생물 배출기준 제시 2-1-2. 화학/독성영향 위해성 평가 - 활성물질 분석 및 거동 평가 - 수중제거 위해도 분석 - 독성영향평가/기법개발 2-1-3. 수중... |
| 기대효과 |
1. 사회적 측면 (해양생태교란 방지) -국제 해상교통의 환경 이슈해결에 기여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선체부착생물 수중제거물질의 관리 대책 수립 -선박기인 외래 생물에 의한 해양생태계 교란 방지 기여 -해양생물 종 다양성의 보전/보호를 통한 지속가능한 이용2. 정책적 측면 (국제적 수준의 연구기술 확립) - 국정과제84 “깨끗한 바다 풍요로운 어장” 201... |
| 키워드 |
선체부착생물,위해성 평가, 수중청소로봇,국제 표준화,IMO 선제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