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해 전통 건물군의 H-BIM 지능형 목조 건축 모델링 및 대용량 모델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기술 개발 - H-BIM 모델링 결과의 LOD 수준 : 4단계 - H-BIM용 전통 부재 데이터세트 구축 : 500개 - 관리 객체수: 600,000개 이내 (목조건물 200채, 건물당 부재 3,000개 내외) |
연구내용 |
○ 전통 건축 양식에 따른 부재 아카이브 구축 - 치수, 모양, 색상 정보 포함한 3D 전통 부재 데이터세트 제작 - 고건축양식에 관한 부재 분류 및 데이터 수집 ○ 전통 건축물의 부재 단위 절차적 모델링(procedural modeling) 기술 - 단일 전통 건축물의 절차적 모델링용 문법(Shape Grammar) 개발 - 전통 건축양식에 따른 절차적 ... |
기대효과 |
○ (건축 문화유산의 디지털 트윈 인프라 구축) 전통 건축물의 디지털트윈 정의 및 기반 기술을 개 발하여, 문화재 현장의 디지털 헤리티지에서 콘텐츠 제작까지 연결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의 디딤돌 역할 수행 - 기존 건물 외형 위주의 디지털화를 넘어, BIM 연계 시공간 시뮬레이션의 가능 및 분산된 디지 털 정보자원을 묶는 디지털트윈 시대에 대응 - H-BI... |
키워드 |
건축문화유산,디지털트윈,역사적빌딩정보화모델링,전통목조건물,3차원모델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