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소형 무인비행기 인증 체계 기반 구축을 통해 정부 정책에 부응하는 4차 산업혁명 선도, 고부가 가치 창출의 미래형 신산업 발굴 및 육성을 비전으로 다음을 최종 연구개발 목표로 함O 형식인증이 완료되어 안전성이 기확보된 국내 소형비행기를 활용하여 무인화 개조한 무인비행기 시스템의 표준감항 인증을 위한 기준(안) 개발O 고중량 임무장비 탑재 및 장시간 비행 임... |
| 연구내용 |
연구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3개의 세부 과제로 구성됨 1) 1세부 : 소형무인비행기 무인화시스템 개발 및 인증기술개발- 연구단 과제 총괄 . 연구단 총괄 및 사업 관리(일정, 예산, 위험도 등) . 기술 관리(성능, 형상, 인증기술 등)- 체계종합 . 소형무인비행기 시스템 운영요구사항 정의 . 무인화시스템 안전성 분석 및 신뢰성 검증- 소형 비... |
| 기대효과 |
O 각 공공 안전분야의 소형무인비행기 운용을 통한 국민 안전성 향상 - 재난/재해지역 조기탐지 및 실시간 대응을 통한 재난/재해 피해 최소화 및 국민 생명 구조 - 원격탐사, 통신중계, 환경감시, 기상관측 등 공공 인프라로써의 활용을 통해 사회적 효율성 증가 및 운용범위 확장O 무인기 인증을 위한 기반 확보를 통해 국내 무인기 산업의 경쟁력 향상 - 현재 ... |
| 키워드 |
소형비행기,무인화시스템,지상통제장비,데이터링크,특별감항증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