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o 지상이동통신 중심인 現 5G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UAM(플라잉카‧택시), UAV(무인기), 드론, 항공기 등 10km까지의 다양한 공간 이동체들에게 Gbps급의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술 개발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핵심기술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화. 3차원 공간에서 지상-비지상 네트워... |
연구내용 |
o 주관연구개발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3차원 공간 네트워킹 요소기술 개발 . 3차원 공간 멀티 레벨 토폴로지 관리 요소기술 개발 . 3차원 공간 저지연/저복잡도 릴레이 요소기술 개발 . 3차원 공간 이동성 관리 요소기술 연구 - 3차원 공간 무선전송 요소기술 연구 . 3차원 공간 도달 전송거리 확장 요소기술... |
기대효과 |
- 기술적 측면. 세계 최고 수준의 3차원 공간 이동통신 원천기술 확보 및 3차원 공간을 위한 차세대 공간 이동체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통한 기존 5G 기술의 한계 극복. 다계층으로 구성되는 비지상 네트워크와 지상 네트워크의 계층적 연결을 통한 3차원 공간 이동체 이동통신 인프라 확보. 3차원 공간에서 지상-비지상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다양한 공간 이... |
키워드 |
3차원 공간 네트워크,3차원 공간 네트워킹,3차원 공간 무선전송,3차원 공간 이동통신,3차원 공간 천음속 이동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