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o 최종목표: 공공 장소에서 위험 발생의 전조를 인지하여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예측적 영상보안(Predictive Visual Security) 핵심기술 개발 ※ 공공 장소: CCTV/측위로 관제가능한 와일드(30m이내, 30Lux이상) 환경 ※ 위험: 성범죄, 살인, 폭행, 강도 등 4대 강력범죄 대상 o 연구 결과물 - 예측적 영상보안 신경망 기술... |
연구내용 |
- 위험 예측분석을 위한 실증 치안 리빙랩 개발 ● 위험 예측분석을 위한 실증 치안 리빙랩 개발 및 기술 적용● 능동형 AI 생활위험도 분석시스템 리빙랩 개발 및 기술 적용● 지자체 VMS와 능동형 AI 생활위험도 분석시스템 연동 서비스 시범 적용 및 시험● 위험예측 리빙랩 기반 개인 민감정보 유출방지 시험● 스마트시티 통합안전플랫폼 연동 및 빌트-인 적용... |
기대효과 |
◦ 활용계획 - 사후 대처 중심의 치안시스템에서 사전 예방 중심의 차세대 첨단치안시스템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지방경찰청,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등에 적용 - 국토부, 행안부 등을 중심으로 구축중인 전국 스마트시티 사회안전플랫폼에 AI 브레인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개발된 위험이벤트 탐지 기술 등과 통합 및 빌트-인 적용 - 법무부 위치추적중앙관제센... |
키워드 |
5G 지능형 CCTV,범용 위험감지,영상 보호,예측 치안,위험 예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