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을 이용한 발광소자를 개발함에 있어서, (1) 결정 표면/계면 결함의 선택적 식각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점 용액의 정제과정을 포함한 후공정 과정 중에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표면결함을 균일하게 제어하고, (2) 나노결정의 표면/계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결함에 기인한 비발광성 재결합의 비활성화와 동시에 발광소자의 구동 중에 발생하는 결함의 ... |
| 연구내용 |
1) 표면/계면 결함의 선택적 식각 기술o 첨가되는 질산염의 금속 양이온 전하밀도가 납 이온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납 이온보다 전하밀도가 높은 양이온과 선택적으로 강한 결합을 하기 때문에 가역적 용액상 반응을 통하여 납 원자/양이온이 선택적으로 용해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결정표면의 선택적 식각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론을 ... |
| 기대효과 |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o 경제적/산업적 측면: IoT 기기의 활성화와 더불어 현재 2021년 228조원에서 2023년까지 약 346조원으로 약 3.1% 연평균 성장률로 성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재료 시장에서 신규 양자점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기반의 전기구동 발광소재/소자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는 관련 국내 프리미엄급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
| 키워드 |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표면결함,배위결합,금속 질산염,아미노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