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91
2024-05-22
내역사업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
과제명 | 다자유도 모핑 제어가 가능한 고출력 소프트 액추에이터/센서 기반 웨어러블 햅틱-로보틱 인터페이스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315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3-01 ~ 2025-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3-01 ~ 2023-02-28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노약자들의 상지 근력 보조 혹은 상지 기능 장애인들의 재활을 위해 가벼우며 착용과 탈의가 편한 다자유도 소프트 웨어러블 로보틱-햅틱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임. 이를 위해 출력 100W/kg 이상, 변형률 30% 이상의 성능을 가지며, 피드백 컨트롤을 위해 자체 변위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3축 변형 모핑 소프트 인공 근육을 개발할 것임. ... | ||
---|---|---|---|
연구내용 | 다자유도 소프트 웨어러블 로보틱-햅틱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소프트 액추에이터인 유전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와 형상기억합금 등을 이용하여 직조형태(woven structure)로 만들어 얇고 가벼운 인공 근육을 설계할 것임. 소프트 액추에이터의 직조형태에 따라 수축/이완 방향을 바꿀 수 있음. 여러 가닥의 소프트 구동기를 ... |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다자유도 햅틱-로보틱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단단한 소재의 웨어러블 기기보다 유연하고 가벼워 착용과 탈의가 쉬움. 더욱이 기존의 모터/엔코더를 사용한 웨어러블 로봇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상지 기능 장애인이나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을 위한 근력 보조 및 재활 기기로 사용할 수 있음. 이뿐만 아니라 다자유도 햅틱-로보틱 인터페이스는 VR/AR... | ||
키워드 | 로봇,웨어러블,소프트,햅틱,인공근육,다자유도,소프트 센서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로봇/자동화기계 > 로봇 설계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전기 및 기계장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93,669,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