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0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시각화를 통한 2차원 보즈 양자 유체역학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3376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3-01 ~ 2026-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3-01 ~ 2023-02-28 |
연구목표 | 본 과제의 목표는 GaAs 양자 우물 기반의 엑시톤-폴라리톤에서 관측되는 2차원 초유체의 양자 유체역학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자 유체에서만 발현되는 독특한 현상인 양자 소용돌이의 운동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양자 소용돌이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많은 연구가 되었지만 아직까지 실험적으로 명확히 측정되거나 관측되지 않은 현상을 탐색해보고자... | ||
---|---|---|---|
연구내용 | 본 과제의 연구 내용은 큰 틀에서는 고체 물질 내부의 준입자들에 대한 유체역학을 연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전 유체와 차별화되는 양자 유체역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페르미온에서 발현되는 페르미 액체 역시 양자 유체의 일종으로 그 열역학적 특성은 고전 액체와 확연히 구분되지만 유체역학적 특성은 나비에르-스톡스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뉴턴 유체의 ... | ||
기대효과 | 응집물질물리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현상들은 직접 관측이 불가능하다. 도체 내의 전자 흐름을 설명하는 아주 친숙한 옴의 법칙의 경우에도 도체 내부의 전자 흐름을 시각화하기보다는 도체 내부의 전자 산란에 대한 이론을 통해 그 결론을 유추함으로서 알 수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전자 흐름에 대한 간접적인 증명에 가깝다. 그러나 엑시톤-폴라리톤의 경우 유체의 흐름을... | ||
키워드 | 양자 유체,유체역학,양자 유체역학,엑시톤-폴라리톤,시간 동역학,양자 소용돌이,양자 마그너스 효과,양자 소용돌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물리학 > 응집물질물리 > 초전도체/저온물리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93,573,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