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이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미생물과 해면동물(Phylum Porifera; sponge)이 지질 기록에 어떻게 보존되었는지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당시의 고환경 및 고생태를 유추하고 미생물과 해면동물의 공진화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미생물과 해면동물은 지질시대 동안, 그 중에서도 현생누대 동안 자주 함께 나타난다. 이들이 자주 함께 나타났던 이유는 해... |
| 연구내용 |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해면동물과 미생물이 함께 만들어내는 구조에 대한 연구, 미생물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이와 관련된 구조들의 성인에 대한 연구, 생물초를 포함하는 퇴적환경 연구 등 크게 세 개의 대주제를 설정하였고, 각각의 대주제 속에 총 열두 개의 소주제를 설정하였다.1. 해면동물과 미생물이 함께 만들어내는 구조에 대한 연구1-1. 각질해면... |
| 기대효과 |
이 연구과제를 바탕으로 선캄브리아시대의 각질해면류 화석을 동정할 수 있을 것이며, 해면동물 뿐만 아니라 최초의 동물에 대한 고생물학적 근거를 확립하고 이들의 초기 진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동물의 진화에 대해서 많은 고생물학자 및 생물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 주제에 대한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Nature, Science... |
| 키워드 |
해면동물,미생물,해면동물-미생물초,스트로마톨라이트,쓰롬볼라이트,고환경,고생태,공진화,퇴적 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