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67
2024-05-22
내역사업 |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사업 |
---|
과제명 | 에너지 클라우드 구현을 위한 에너지 네트워크 통신 기술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4397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19-06-20 ~ 2023-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12-31 |
연구목표 | A. 양방향 전력전달 제어에 적합한 에너지 네트워크 통신 제어 아키텍처와 빅데이터 기술 개발B. Scale-free Complex Data Network에 대한 빅데이터 취득 통신 기술 연구 및 에너지 네트워크 크기와 자원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Scalability & Interoperability 기술 개발C. 에너지 네트워크의 자기조직화, 창발성과 ... | ||
---|---|---|---|
연구내용 | (1) 양방향 전력전달제어를 위한 에너지네트워크 통신제어아키텍처와 빅데이터기술 개발·라우터 기반의 에너지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 체계 구축·분산자원 에너지 네트워크 내 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전력 서비스 제공 기술 개발·IEC 61850 표준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 개발·그리드 연동 분산자원시스템의... | ||
기대효과 | ·전력 품질 향상 및 사용 효율성 향상에 적합한 에너지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방안에 활용·양방향 전력전달 기술 분야에서의 기술 전략 정책 수립에 활용·자율형 통신 CPS 기술을 고신뢰성의 스마트시티 설계, 개발 및 운영에 활용 ·스마트시티, 마이크로그리드, 다중 에너지 네트워크, V2V 충전 통신, 스마트홈, 그리고 전력-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에서 안정적인... | ||
키워드 | 에너지네트워크, 통신시스템, 분산분권자율형, 로컬배전, 다이나믹 제어방법, 복잡한 시스템제어, 분산자원시스템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전기/전자 > 반도체소자·회로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반도체소자·회로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전기 및 기계장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9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