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5
2024-05-22
내역사업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
과제명 | D.N.A.(Data, Network, AI)를 이용한 복잡계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4684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3-01 ~ 2025-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3-01 ~ 2023-02-28 |
연구목표 |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으나, 기존 과학의 패러다임인 환원론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웠던 복잡계를 통계물리학, 그 중에서도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네트워크 과학과 데이터 과학을 통해 분석하여 복잡계가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구조적 동역학적 패턴과 특징을 파악, 복잡계를 올바르게 모델링하고, 더 나아가 밝혀진 복잡계의 구조와 동역학을 이용, 복잡계의 최소... | ||
---|---|---|---|
연구내용 | D.N.A. (Data, Network, AI)로 대표되는 통계물리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물리, 생물, 전산, 인문/사회과학 및 예술에 걸친 다양한 복잡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입니다. 기존 중견과제의 분류체계에서 사용했던 4가지의 중분류와 중간점검 때 새로 추가된 1가지 중분류를 좀더 단순하게 3가지 (D.N.A.)로 재분류하여, 1. 데이터를 활용한 복... | ||
기대효과 | 서로 다른 분야의 융합에 의해 연구되는 대표적인 복합과학, 복잡계에 대한 연구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필수불가결한 연구주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여러 센터 (미국의 Santa Fe 연구소 등) 및 선도그룹에 의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개별 연구자 수준에서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위해 이번 중견과제 ... | ||
키워드 | 복잡계,네트워크과학,데이터과학,AI 머신러닝,비평형통계물리,학제간 융합연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물리학 > 통계물리 > 복잡계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93,669,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