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51
2024-05-22
내역사업 | 달 탐사 개발사업 |
---|
과제명 | 달 탐사용 광시야 편광 카메라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4942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16-05-01 ~ 2023-03-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3-03-31 |
연구목표 | 한국형 달탐사 사업의 1단계 시험용 달 궤도선에 탑재하기 위하여 다파장 광시야 편광카메라를 개발하고 발사 후 획득하게 될 편광 영상자료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 임무고도 100km에서 100m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관측파장 320nm, 430nm, 750nm의 광시야 편광 카메라를 개발한다.- 전월면, 모든 관측 파장에서 위상각(태양-달-카메라 사이... | ||
---|---|---|---|
연구내용 | - 임무정의 및 과학 요구사항 분석- 과학 요구사항에 맞는 기기사양 정립 조정- 기기사양과 임무 운영개념 분석 / 설계- 위성운용 요구사항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 협의(항공우주연구원)- 과학요구사항에 맞는 광시야 광학렌즈 설계- 전자부 설계 및 prototype 개발- 달 궤도 환경 기반 광시야 카메라 열 제어 설계- 광시야 카메라 구조부 설계- 탑재체 시험... | ||
기대효과 | 달 탐사 후발주자인 KPLO 가 이제껏 시도되지 않은 탐사자료를 독자적으로 확보한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매우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자료가 달 과학에 완전히 새로운 시작을 제공하여 달과 지구을 이해하고 우주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달을 넘어 화성, 수성 등의 외부행성계를 탐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 | ||
키워드 | 달탐사,광시야 카메라,편광,달과학,우주풍화,과학 탑재체,달 궤도선,다파장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ST(우주항공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지구과학 > 우주과학 > 태양계탐사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우주개발 및 탐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천문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천문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