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 계획은 반도체 양자 광원에서 생성된 편광 얽힘 광자쌍 기반 상온 동작 양자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수행된 지난 2019-2021년 수행된 중견 과제의 후속연구로서, 다음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개진하여 상온 동작 양자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양자광원 플랫폼의 저변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번째로 과년도 중견 과제에서 개발한 피라미드 ... |
| 연구내용 |
피라미드 양자점 양자광원의 후속 연구: 질화물 반도체 피라미드의 꼭지점에 형성된 양자점 단광자원이 편광 얽힘 광자쌍을 방출하려면, 서로 다른 편광의 광자를 방출하는 쌍엑시톤의 두 transition pathway를 구분가능하게 해주는 미세 구조 분리(Fine Structure Splitting, FSS)를 제거해야 한다. 선행연구에선 자가제한성장 과정에서 ... |
| 기대효과 |
3.1. 활용 범위 : 궁극적으로 단광자원의 순수도를 0.1 이하로 최적화하면 실용적인 상온 양자 키분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고체 물질 기반의 단광자 소자는 상온 동작이 가능해 에너지 절감에 유리하고, on-chip 집적으로 공간효율면에서도 유리한 차세대 양자통신 네트워크 및 보안시스템의 실제적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3.2. 기대효과 : 본 연구를... |
| 키워드 |
단광자원,집적 양자광원,광공진기, Purcell 효과,광집적회로,피라미드 양자점,편광 얽힘 광자쌍,미세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