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폐암 환자에서 구강, 기도 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면역항암제 내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류 및 다양성 확인2) 구강 및 기도 내 미생물과 환자의 기관지세척액 (BAL) 검체에서 분리한 면역세포 분석을 통하여 종양미세환경과의 연관성 확인3) 면역항암제 치료 전후 혈액에서 림프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 사이토카인 분석을 통하여 기도 내 미생물과 숙주의... |
| 연구내용 |
1) 1차년도: 구강, 기도 내 미생물 분석 및 면역항암제 내성과 연관성 확인- 폐암 환자에서 치료 전 구강 내 미생물, 기관지세척액 검체를 이용한 기도 내 미생물 분석 시행을 통해 구강내 미생물과 하부기도의 미생물 군집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 면역항암제 내성 환자들 중 primary immune resistance 환자와 acquired immune ... |
| 기대효과 |
■ 폐암에서 면역항암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면역항암제 내성은 반드시 극복해야할 문제임. 면역항암제는 기존의 항암제와는 달리 부작용이 적고 장기간 지속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내성을 극복한다면 약제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환자들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폐암의 생존기간 향상과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큰 도움이... |
| 키워드 |
종양미세환경,면역항암제 내성,폐암,기도 미생물,숙주 면역상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