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기능이상으로 의한 뇌전증의 병리기전으로 뇌내 미세아교세포(microglia)활성에 의한 뇌염증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음. 본 과제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인자 중 mTOR 기전의 Rheb1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을 중심으로 미세아교세포 활성조절관련 신규 타겟을 발굴하고 나노융합기술... |
| 연구내용 |
▪ 1차년도 (2022) : 영아뇌전증 동물모델에서 대뇌 내 미세아교세포 활성 관련 mTOR 기전 연구 (1) 영아뇌전증 동물모델의 대뇌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관련 mTOR기전 활성 조사 (2) 뇌전증관련 미세아교세포 활성유도 후 mTOR 검증 (3) mTOR 기전의 미세아교세포 활성조절 검증 및 발굴 ▪ 2차년도 (2023) : mTOR 기전 관련 유전자제... |
| 기대효과 |
(1) 삶의 질 측면○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항경련제의 작용 기전을 발견하여 영유아 난치성 뇌전증의 치료가 가능해지면 이로 인한 지능 저하와 사회적 기능 상실을 조기에 막을 수 있음.○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와 돌봄에 매달리는 가족들을 심리적으로 지지해주고 치료비의 지출을 줄여 가족 전체의 삶의 질 또한 향상됨.(2) 기술적 ... |
| 키워드 |
뇌전증,영아연축,미세아교세포,mTOR,Rheb1,항경련제,신경염증,경련,나노파티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