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44
2024-05-22
내역사업 |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
---|
과제명 | 레이저-소재 상호작용 기반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5641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16-05-01 ~ 2022-07-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07-31 |
연구목표 | 다중 길이스케일, 다중 시간스케일에서 일어나는 비단열, 비평형열역학적 레이저-소재 상호작용에 기반하여 현 디스플레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을 핵심소재를 개발한다. 다양한 자유도를 가지는 레이저를 활용하여 미시수준 원자배열제어, 중시수준 결함제어, 거시수준 화학조성제어를 통해 기존의 소재제작 방식으로 도달할 수 없는 우수한 물성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며, 이를 ... | ||
---|---|---|---|
연구내용 | 레이저-물질 상호작용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바탕으로 10~100배 이상 향상된 물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핵심소재를 개발한다.선택적, 이방성의(anisotropic), 비대칭적 상호작용을 통해 정렬된 상(arranged phase)을 발굴함나노수준 열유동장 제어 기반 3배 향상된 외부 양자효율의 BCP-conjugated 양자점 발광소재 개발비평형열역학에 기... | ||
기대효과 | 기존 소재 대비 획기적으로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이저 기반 기술의 도입으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의 기술 자립을 달성할 수 있다. 현재까지 레이저를 소재 제작에 사용한 예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해당 분야는 태동기이며 특허 침해 가능성이 적고 기술 전 분야에 걸친 특허점유를 통해 독점적인 지위를 행사할 수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이 소재... | ||
키워드 | 발광소재,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디스플레이소재,채널/절연소재,준안정소재,비평형열역학,전극소재,비단열적 상호작용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전기/전자 >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44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