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방사선 저항성(내성)은 원핵생물인 박테리아에서부터 진핵생물인 포유류(쥐)까지 다양한 생물체에서 관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생명체가 방사선 저항성을 갖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음. 이온화 방사선은 생명체에 치명적인 DNA 손상을 발생시켜 초기에는 DNA 손상 복구 시스템이 방사선 저항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생각되어졌으나 최근에는 이온화 방사선이 생산하는... |
| 연구내용 |
? 방사선 유도 저분자(5~20 aa) 펩타이드 선발 생물정보학 방법 확립 및 검증ㆍ현재 활용되고 있는 방사선 방호(항산화) 기능 펩타이드는 인공적으로 제작된 것임ㆍ생체 유래 방사선 유도 펩타이드를 선발하기 위하여 유전체, 전사체, 리보솜 프로파일링 기술을 조합,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할 수 있는 small ORF 판별 (1차년도 완료) ? 방사선 급성/만... |
| 기대효과 |
? 방사선 저항성(내성) 생명체의 방사선 내성 획득 메커니즘 관련 진화 이론 정립에 기여? 방사선 유도 펩타이드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기능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생리활성 펩타이드 시장에 진출 가능한 고기능성 펩타이드 개발에 기여?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방사선 내성 증가 대장균(개발기간 2년 소요 예상) 및 벌거숭이 두더지 쥐 연구용 사육시설(국내... |
| 키워드 |
이온화 방사선,방사선 저항성,데이노코쿠스,하이메노박터,유도진화,저분자 펩타이드,방사선 방호,벌거숭이 두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