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92
2024-05-22
내역사업 | 기존과제(도전형소재기술개발프로그램) |
---|
과제명 | 제어된 핵생성을 통한 신규 격자구조의 콜로이드 광결정 설계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6367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18-07-01 ~ 2023-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12-31 |
연구목표 | 최종 목표 : 제어된 구조의 핵 도입 및 결정 성장 제어를 통한 신규 격자구조의 콜로이드 광결정 설계개요 : 본 연구에서는 콜로이드 입자 시스템에 인력을 도입하여 결정화를 유도하고 실제 원자와 유사한 퍼텐셜을 수식화함으로써 결정화의 상거동, 핵생성 및 성장 과정을 정량 분석하고자 함.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핵생성을 물리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광결정... | ||
---|---|---|---|
연구내용 | ◆ 1-2차년도(2018-2019년): 결정 성장의 핵 (nuclei) 설계 및 콜로이드 결정화 시스템 확립 (기수행)▷ 에멀전 주형법을 이용해 콜로이드 클러스터 및 표면패턴을 갖는 미세입자 형성▷ 고갈력 (depletion force) 기반의 콜로이드 결정화 시스템 최적화▷ 2차원 딤플 배열 패턴을 이용한 3차원 콜로이드 결정 패턴화▷ 나노바늘배열 구조 ... | ||
기대효과 | ◆ 신규 격자 및 결정 배향 구조를 갖는 콜로이드 결정은 새로운 광특성 발현으로 인해 진보된 형태의 광학 소재로 다양한 영역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특히 단일 결정화 단계로 다중 광결정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확립된다면 원천 기술 확보가 가능하며, 차세대 위변조방지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광결정 패턴의 경우 단순 카피가 불가하고, 각도에 따른 ... | ||
키워드 | 핵,결정 성장,균질 핵생성,비균질 핵생성,고갈력,광결정,원자 모델,캡슐화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화공 > 나노화학공정기술 > 나노소재 제조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8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