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허약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 연속성 이론에 기반하여 허약노인을 위한 활동증진프로젝트(Active aging project)를 개발하고 적용평가 함으로서 성공적인 노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5개년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거주 허약노인들이 추구하는 성공... |
| 연구내용 |
[목표 1. 허약노인의 성공적노화의 개념 정립]1) 허약노인 대상 성공적노화 개념에 대한 개념분석Schwartz-Barcott의 하이브리드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이론적단계: 문헌고찰을 통한 성공적노화 개념의 정의, 현장작업단계: 지역사회 거주 허약노인 자료 포화상태 평가에 기준하여 12-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주관적 건강인식과 성공적 노화 개념... |
| 기대효과 |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허약노인의 허약상태와 자신이 추구하는 건강목표인 성공적 노화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파악하여 맞춤형 활동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Active aging 프로젝트로 본 연구 결과를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연계할 경우 근거기반의 의사결정을 위한 기술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실질적인 보... |
| 키워드 |
허약노인,성공적노화,활동증진프로그램,연속성이론,네트워크 메타분석,혼종모형설계,무작위실험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