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신재생에너지 연계 실내·외 열공기환경 정보연동 청정공조환기 시스템의 개발에 앞서, 학교 에너지 부하저감 방안 개발 실증 및 시스템 평가 표준화를 위해 미세먼지 저감용 청정공조환기시스템을 위한 패시브(Passive) 기술 기반 1+++ 등급 이상의 제로에너지 학교 설계안·기술패키지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청정공조환기시스템(신재생에너지 연계 중앙공조·청정 시스... |
| 연구내용 |
학교 건물의 외피 기밀 성능을 제안하고, 기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벽체의 기밀화 및 창과 출입문의 기밀성능 강화에 필요한 자재의 선정과 적절한 설치 위치 선정, 면적비율 계산 등을 수행하고 설계안을 도출할 수 있음. 녹색건축인증에서 사용되는 친환경건설자재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KS규격의 유해물질 검사방법을 활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벽체/바닥/천장 마감재 ... |
| 기대효과 |
학교 신축 건물의 기본 설계자료 활용 및 학교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실내 미세먼지 저감 자재 사용 및 유해물질 저감 자재 DB를 구축하여 실내 공기질 개선에 필요한 마감재 구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음. 학교 부하 저감용 외피(벽/바닥/천장) 패키지 개발을 통해 향후 학교 건물 설계 시 외벽의 열관류율에 따른 단열재 두께 증가 및... |
| 키워드 |
재생에너지,제로에너지빌딩,중앙열원시스템,에너지부하,공기청정환기,건물외피,창 및 문,표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