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현재 상용화된 제품은 1.5~3 mm 수준의 곡률반경 수준이지만, 향후 0.5 mm의 곡률반경의 굽힘, 더 나아가 신축이 가능한 OLED 패널의 개발이 예상됨. 봉지소재는 OLED에서 외부 환경에 대해 소자의 수명 신뢰성을 부여하는 핵심 소재이기 때문에 유연/신축 등의 기계적 특성의 개발이 요구됨.○ 봉지소재의 기계적 결함은 투... |
| 연구내용 |
○ 본 과제는 2단계(3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임. 1세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봉지소재의 구조와 물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통해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임. 각 년차별로 상세한 계획은 아래와 같음. - 2단계 1차년도 : 역설계를 통한 박막의 기계적 물성 분석, 평면 봉지소재 해석 ∙ 단/다층 박막의 탄성 기계적 물성 역설계 기... |
| 기대효과 |
○ 초박막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실제 제품 테스트 이전 단계에서 OLED의 기계적 고장의 원인/취약부를 파악 및 개선하는데 활용.○ 추가 연구를 통하여 구조 모델링, Meshing, Solver 등을 자체 개발하면 상용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 제품 개발 단계에서 시행착오나 시험 횟수를 크게 줄여 수 있어 시간적/경제적 비용의 절... |
| 키워드 |
초박막 봉지소재, 유무기 다층구조, 초박막 시뮬레이션, 물성 역설계, 유연-신축 변형, 균열-박리 시뮬레이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