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33
2024-05-22
내역사업 |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식별·분석기술개발 사업 |
---|
과제명 | 마약류 유해물질 검출을 위한 다공성 나노소재 기능화 및 표면처리 기술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7866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17-09-29 ~ 2022-09-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1-01 ~ 2022-09-28 |
연구목표 | 최종목표:고감도 및 선택적 센서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센서용 나노 소재 개발 및 표면처리를 통한 소재 기능화 기술 개발세부목표1 :다공성 나노소재-고분자 복합소재 기반 마약 유해물질 포집소재 개발세부목표2 :마약 유해물질 포집소재 구조 제어기술 및 최적화 기술 개발세부목표3 :나노소재 기반 포집소재 MEMS 마약센서 시스템 적용 기술 개발세부목표4 :마약 ... | ||
---|---|---|---|
연구내용 | 다공성 고분자, 탄소유도체, 다공성 탄소소재 등 높은 비표면적을 가진 다공성 나노소재와 마약 유해물질과 더 높은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들을 복합화함으로써 마약 유해물질에 최적화된 포집 소재를 개발함. 또한, 개발된 최적화된 마약 유해물질 포집소재를 실제 전처리 농축기(포집체)소자로 적용하여 전처리 농축기(포집체)소자로서 우수한 성능을 확보.... | ||
기대효과 | 마약 유해물질 검출 센서용 다공성 나노소재 기반 복합소재는 마약류 유해물질 감지 센서 시스템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검출, 유해 가스 센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 핵심 센서연구 분야에 활용 가능 또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IoT용 초소형 센서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공성 나노소재의 우수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활용할 경우 기타 응용 분야에도 적용 가능.... | ||
키워드 | 센서용 나노소재,다공성 나노소재,마약 유해물질,나노탄소 소재,나노박막 소재,센서용 전처리 농축기,물질 분리기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화공 > 나노화학공정기술 > 나노공정시스템 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2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