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연구에 의하면 현재 가장 흔한 수술 후 합병증은 '수술 후 섬망'(Postoperative delirium)으로, 수술 후 섬망이 발생한 환자는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 기간, 중환자실 재입원률, 총 입원 기간 모두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함.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 후 섬망'을 명확하게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
| 연구내용 |
[1단계 연구: '깊은 마취+외과적 수술' 기반 '수술 후 섬망' 모델 확립]'수술 후 섬망'의 발생이 환자의 예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 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적음. 다양한 이유가 있겠으나, 적절한 동물 모델의 부재도 중요한 요인임. 기존 연구에서 수술 및 전신마취에 의한 인지 기능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으나... |
| 기대효과 |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사회의 고령화와 함께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대두된 '수술 후 섬망'의 예방 기술 개발 가능성아직까지 '수술 후 섬망'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며, 현재는 비약물적 치료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임. 본 연구를 통해 수술 후 인지기능의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약물치료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음. 섬망은 또... |
| 키워드 |
수술 후 섬망,전신마취,미토콘드리아,비접힘단백질반응,미토카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