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3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2)중견연구 |
---|
과제명 | 학습 없이 자연 발생하는 인지 기능의 모델 시뮬레이션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8535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3-01 ~ 2027-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3-01 ~ 2023-02-28 |
연구목표 | ▶ 최종 목표“학습이 이루어지기 전, 최초의 뇌 인지 기능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기작”을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뇌 지능 발생의 기반 원리를 이해 : 지금까지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개념조차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던 “뇌기능 최초 발생 원리의 기반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뇌신경과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이와 연계된 뇌기반 인공지능 개발을 새로운 차원으로 도... | ||
---|---|---|---|
연구내용 | ▶ 연구 방법 개요■ 뇌 모사 모델 신경망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시각 정보 처리 모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모델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구조 요소의 변화에 따른 신경 반응 활동을 시뮬레이션- 무작위 초기화 randomly initialized 된 신경망 모델에서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인지 신경 기능들을 예측하고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후 그... | ||
기대효과 | ▶ 활용방안■ 뇌과학 연구 분야- 본 연구를 통하여 뇌신경과학 연구의 근본적인 목표인 신경 정보 처리 원리 이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이를 통해 과거 물리학 분야에서 뉴턴의 역학이나 맥스웰의 전자기학 등 기저 이론의 정립이 가져왔던 변화와 유사한 급진적인 발전을 뇌신경과학 분야에서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 | ||
키워드 | 신경망 시뮬레이션,학습되지 않은 신경망,선천적 인지 기능,무작위 신경망,계층적 신경망,자발적 발생,수량 추정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간 과학과 기술 > 뇌과학 > 뇌공학 > 뇌기능의 계산모델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93,573,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