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최종 목표“학습이 이루어지기 전, 최초의 뇌 인지 기능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기작”을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뇌 지능 발생의 기반 원리를 이해 : 지금까지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개념조차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던 “뇌기능 최초 발생 원리의 기반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뇌신경과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이와 연계된 뇌기반 인공지능 개발을 새로운 차원으로 도... |
| 연구내용 |
▶ 연구 방법 개요■ 뇌 모사 모델 신경망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시각 정보 처리 모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모델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구조 요소의 변화에 따른 신경 반응 활동을 시뮬레이션- 무작위 초기화 randomly initialized 된 신경망 모델에서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인지 신경 기능들을 예측하고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후 그... |
| 기대효과 |
▶ 활용방안■ 뇌과학 연구 분야- 본 연구를 통하여 뇌신경과학 연구의 근본적인 목표인 신경 정보 처리 원리 이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이를 통해 과거 물리학 분야에서 뉴턴의 역학이나 맥스웰의 전자기학 등 기저 이론의 정립이 가져왔던 변화와 유사한 급진적인 발전을 뇌신경과학 분야에서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 |
| 키워드 |
신경망 시뮬레이션,학습되지 않은 신경망,선천적 인지 기능,무작위 신경망,계층적 신경망,자발적 발생,수량 추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