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년 동안 큰 관측 성과를 거둔 중력파(gravitational waves) 중 특정한 천체에서 오는 것이 아닌, 우주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우주론적 중력파의 이론적 측면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성과에 기반하여 현재 계획 중이거나 실행 중인 차세대 우주 관측 실험들로 검증할 수 있는 관측 가능한 물리량을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1)... |
| 연구내용 |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복사 및 물질 지배 시대(radiation / matter-dominated epoch) 동안 선형(linear) 섭동에 의하여 유도된(induced) 2차 중력파를 연구한다. 특히 좌표 선택에 따른 서로 다른 결과를 비교한다. 2) 우주론적 섭동을 정의하는 광역(global) 좌표계와 실제 관측에 사용되는 국소(... |
| 기대효과 |
정확한 우주 거대 구조의 관측을 위해서는, 현재 거의 모든 우주 관측이 의존하는 가시광선을 비롯하여 광자로 매개되는 전자기파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호들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중신호 천문학의 첨병에 서 있는 것이 중력파로, LIGO에 의해 검출된 이후 중력파를 이용한 우주 관측 및 연구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 |
| 키워드 |
우주론적 중력파,비선형 섭동 이론,일반 상대성 이론,유도된 중력파,광역 및 국소 좌표 변환,구속 조건을 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