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늘어나도 작동이 가능한 태양전지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및 다양한 환경에 필수적인 전력공급원이지만, 30% 이상의 가혹한 반복신축조건 및 에너지 변환효율 측면에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 개발 연구되었던 유연하거나 폴더블한 태양전지 혹은 전자소자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성장하는 웨어러블 시장의 요구 및 새로운 ... | 
                            
                            
                                | 연구내용 | 
                                [연구 목표] (1) 스트레처블 태양전지 광전변환효율 14% (2) 신장률 50% 시 효율감소 10% 이내 (3) 신장률 25%에서 cycle 5,000회 후 효율감소 10% 이내 (4) 상위 10%의 SCI급 논문 20건/ 특허 7건 (공동특허 5건)[가혹한 신축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고성능 신축성 소재개발]- 논-풀러렌 고흡광 Motif 기반 고분자 개... | 
                            
                            
                                | 기대효과 | 
                                [산업 발전에의 기여도 및 국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저전력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충전을 위한 탈착이 없는 새로운 폼팩터의 차세대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수행한다.새로운 모바일형, 박막형, 웨어러블형 산업의 태양광 에너지 기술개발로 핵심기술 및 원천특허를 선점 및 확보하여 관련 산업에서의 국가 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진다.소형 모바일 전자기기부터 건물일체형 태양광 ... | 
                            
                            
                                | 키워드 | 
                                웨어러블 전자기기,스트레처블 태양전지,전-고분자 태양전지,계면 접합력,액체 금속,기계적 안정성,신축성,광활성 |